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봄날은 간다> 영화 소개 및 출연진 감상평

by 유주12 2023. 12. 26.
반응형

 

영화 소개

영화 <봄날은 간다>2001928일 개봉한 국내 영화이다. 영화 <8월의 크리스마스>를 찍은 허진호 감독의 작품이다. 영화의 제목은 봄날은 간다이지만 영화의 계절적 배경은 겨울로 시작한다. 사운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는 상우(유지태)는 아버지와 고모, 그리고 치매 걸린 할머니와 함께 살고 있다. 그는 어느 겨울날, 강릉에 있는 한 방송국에 일하러 갔다가 라디오 PD인 은수(이영애)를 만난다. 은수(이영애)는 자연의 소리를 모아서 라디오로 방송해 주는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있었고 사운드 엔지니어인 상우(유지태)를 만나 함께 일을 하게 된 것이다. 두 사람은 함께 소리를 찾으러 다니고 녹음을 하며 일을 하다가 순식간에 서로에게 끌렸다. 겨울날에 만난 그들은 봄날이 올 때쯤 사랑에 빠지게 된다. 자연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순수한 남자인 상우(유지태)는 순수하게 은수(이영애)에게 빠져들었다. 사랑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순수하고 진지한 사랑을 상우(유지태)는 은수(이영애)에게 쉽게 내주었다. 은수(이영애)가 보고 싶어 서울에서 강릉까지 택시를 타고 단숨에 달려가는 상우(유지태)의 모습은 영락없이 사랑에 빠져버린 사람 그 자체이다. 그러나 겨울에 만나 봄에 싹 틔운 그들의 사랑은 봄날이 가고 여름을 맞이하면서 삐걱거리기 시작한다. 이혼 경험이 있는 은수(이영애)는 결혼을 꿈꾸는 상우(유지태)에게 결혼할 생각이 없다며 결혼에 대한 부담스러움을 표시한다. 결혼 이야기가 나올 때부터 그들의 관계가 위태로워 보이기 시작했다. 앞뒤 가리지 않고 그저 순수하게 은수(이영애)를 사랑했던 상우(유지태)는 사랑이 어떻게 변할 수 있는지 답답했고, 사랑은 당연히 변하는 것임을 알고 있는 은수(이영애)는 그런 상우(유지태)에게 헤어지자고 말한다. 영원히 변하지 않으리라 생각했던 사랑이 변해버린 것을 받아들이지 못하는 상우(유지태)는 어찌할 바를 모르고 힘들어한다.. 치매 걸린 할머니는 벚꽃이 흐드러진 봄날, 돌아가신 할아버지를 한없이 기다리다 떠나버린다. 그런 할머니에게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한 상우(유지태)는 사랑에 좀 더 성숙해진다.

출연진

이 영화의 주인공인 은수와 상우 역을 맡은 이영애와 유지태 배우는 가히 그들의 대표작을 남겼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영애와 유지태는 그대로 은수와 상우였다. 배우들은 그 시절의 풋풋한 모습으로 사랑에 빠진 은수와 상우였고, 이별에 아파하는 은수와 상우였다. 영화 평론가인 이동진은 허진호 감독과 이영애, 유지태 배우 이 셋 각자에게 이 영화는 최고의 작품이라고 하며 만점을 줄 정도였다. 은수와 상우는 겨울에 만나 입김이 나오는 시린 날에도 서로를 보며 미소 지을 수 있었다. 따뜻한 봄이 되었을 때 그들의 사랑도 꽃과 함께 만개했다. 서로에게 긴 겨울이 지나 봄이 되어 주었다. 그러다 봄날의 꽃이 시들고 여름이 되었을 때 은수와 상우는 이별을 했다. 은수는 자신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했을 뿐이고, 상우는 은수의 그 솔직한 감정에 무너져 내리는 이별이었다. 다시 봄이 오기 전까지 시린 겨울을 보내며 상우는 시린 마음을 붙잡고 아파하면서 성숙해졌다. 은수와 함께 했던 봄날은 갔지만 벚꽃이 흐드러진 봄날은 다시 왔다. 다시 온 봄날에 상우는 아픈 사랑에도 미소 지을 수 있을 만큼 성장했다. 이영애와 유지태가 아니었다면 이런 은수와 상우를, 이런 은수와 상우의 사랑과 이별을 볼 수 있었을지 의문이다. 이영애와 유지태가 그린 은수와 상우가 내내 여운에 남는 영화이다. 또한 상우(유지태)의 아버지 역으로 출연한 박인환 배우, 고모 역으로 출연한 신신애 배우, 할머니 역의 백성희 배우도 영화의 분위기에 자연스럽게 녹아든 최고의 캐스팅이었다.

감상평

영화 <봄날은 간다>는 자연의 소리를 있는 그대로 깨끗이 담아내는 일처럼 사랑도 있는 그대로 깨끗이 마음에 담아낼 줄만 아는 한 남자와 사랑의 아픔에 닳고 닳으면서 영원한 사랑을 믿지 않는 여자의 사랑 이야기를 담아낸 이야기이다. 사랑에 순수하고 순수한 사랑에 앞뒤 없이 뛰어들 줄 아는 상우를 보면서 관객들도 한 번쯤은 겪어봤을 사랑의 열병을 확인한다. 속절없이 상대방에게 빠져 들어버리고야 마는 그 주체할 수 없는 사랑의 마음을, 관객들은 상우를 보며 확인하고 또 확인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상우의 사랑이 마치 비현실적인 사랑이라 비웃기라도 하듯 은수는 그 사랑의 마음을 능수능란하게 가지고 노는 것 같다. 라면을 먹고 가라며 상우를 집으로 데리고 온 것도 은수였고 상우를 설레게 한 것도 은수의 미소였고 결혼은 싫다며 밀어낸 것도, 헤어지자고 말한 것도 모두 은수였다. 사실 은수는 상우의 마음을 가지고 논 것은 아니다. 사랑에 상처받은 자신의 마음을 스스로 치유하지 못한 것일 뿐이다. 우리는 모두 언제가는 상우였다가 언제가는 은수였을 것이다. 그렇기에 관객인 우리는 이 둘의 마음에 모두 공감할 수밖에 없다. 더 연약하고 아파서 휘청거릴 것만 같던 상우의 사랑이 결국에는 굳건히 성숙해진 것을 보며 관객은 어떤 사랑을 하고 싶다는 마음을 먹게 될까. 나이가 들수록 더 공감되는 영화, 봄날은 간다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