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 리뷰

<인사이드 아웃> 등장인물 흥행성적 나의 인사이드

by 유주12 2023. 12. 26.
반응형

등장인물

영화 <인사이드 아웃>2015년 개봉한 픽사 애니메이션 영화이다. 미국 미네소타에서 나고 자란 11살 라일리가 대도시 샌프란시스코로 이사 오면서 라일리 안에서 벌어지는 감정들의 모험 활극이다. 그리하여 이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은 중심인물 라일리의 감정들이다. 기쁨이, 슬픔이, 까칠이, 소심이, 버럭이 이 다섯이 바로 영화의 주요 등장인물이다. 라일리는 아이스하키를 좋아하는 예쁘고 발랄한 소녀이며, 라일리 안의 감정 컨트롤 타워의 리더는 기쁨이이다. 기쁨이는 라일리의 감정 중 가장 먼저 생겨나 긍정적인 사고를 하며 밝고 즐거운 성격을 지녔다. 기쁨이는 라일리를 울리고 어떤 기억이든 우울한 기억으로 만들어 버리는 슬픔이를 항상 제지하려 한다. 슬픔이는 늘 어깨가 처져있고 비관적이다. 슬픔이의 파란 머리는 우울한 성격을 드러내는 듯하다. 슬픔이는 슬픈 기억도 핵심 기억이라며 기쁨이와 아웅다웅하다가 이 둘은 파이프에 빨려 들어가 본부에서 이탈해 버리는 사건이 일어난다. 하지만 슬픔이는 마음 설명서와 지도를 다 읽은 덕분에 사고로 본부를 이탈해 장기 기억 저장소에서 길을 헤맬 때 길을 찾아 안내해 주는 등 사건 해결에 큰 도움을 준다. 다섯의 감정들 중 기쁨이와 슬픔이가 감정 컨트롤 타워에서 나와 모험을 펼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기쁨이는 슬픔이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슬픔이는 기쁨이 없이 존재할 수 없는 존재들이기 때문이다. 기쁨이와 슬픔이는 서로가 있어야지만 각자가 존재할 수 있다. 기쁨이와 슬픔이가 사라진 본부에서 까칠이, 소심이, 버럭이는 각자의 성격대로 라일리의 행동에 반응한다. 까칠이는 라일 리가 좋아하거나 싫어하는 것에 주로 반응하는데, 말투가 가시 돋친 듯 까칠하다. 그래서 부모님과 대화할 때 까칠이가 컨트롤 타워의 제어판을 잡으면 공격적인 말투가 튀어나왔다. 소심이는 안전제일주의자이다. 라일리가 다치지 않도록 놀람, 두려움, 불안, 조심 등의 감정을 맡고 있다. 기쁨이 대신 제어판을 잡으면 라일리에게 무난한 반응이 나온다. 버럭이는 이름처럼 버럭 하는 성격이다. 버럭이가 제어판을 잡으면서 라일리가 부모님께 발끈하는 행동이 마구 튀어나온다. 본부를 이탈한 기쁨이와 슬픔이가 다시 본부로 돌아가는 길에 빙봉을 만난다. 빙봉은 라일리의 유아기 시절 상상의 친구였다. 라일리가 성장하면서 라일리에게 잊힌 빙봉은 장기 기억 저장소를 떠돌던 중이었다. 빙봉은 기쁨이와 슬픔이를 본부로 돌아가게 하는 데 결정적인 도움을 주고 본인은 잠재 기억 속에 갇힌다. 기쁨이와 슬픔이는 다시 본부로 돌아오고 라일리의 핵심기억은 슬픔이와 기쁨이의 공존으로 저장된다.

흥행성적

영화 <인사이드아웃>은 북미 기준으로 역대 픽사 애니메이션 중 흥행 2위를 기록했다. 한국에서는 픽사의 <토이스토리3>의 흥행 성적을 뛰어넘고 한국에서 개봉한 역대 픽사 영화 중 최고의 흥행작이 되었다. 또한 한국에서 역대 애니메이션 흥행 4위의 성적을 기록하기도 했다. 2015년 북미 박스오피스 4, 2015년 북미 애니메이션 흥행 1위의 성적을 거두었다. 우리나라에서 역시 2015년 한국 개봉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차지했으며, 역대 한국 개봉 애니메이션 흥행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우리나라 극장에서는 3D로 볼 수 있어서 많은 관객들이 3D 안경을 끼고 실감나게 영화를 관람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에서 이 영화는 실제로 심리학계나 교육계에서 좋은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2015년 우리나라에서 개봉한 애니메이션 흥행 1위를 기록하는 영화답게 아직도 이 영화는 심리학을 다루는 강의에서 언급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보면 2015년 전 세계 박스오피스 6위를 차지하였고, 역대 픽사 영화 중 전 세계 흥행 3위를 기록했다. 픽사의 열다섯번째 장편 애니메이션인 <인사이드아웃>은 침체기에 빠졌던 픽사가 그동안의 부진을 만회할 수 있었던 훌륭한 작품이라는 평이 많다. 이 영화는 <토이스토리3> 이후 55년 만에 극장에서 IMAX 3D로 상영된 픽사영화였다.

나의 인사이드

이 영화가 전 세계적으로 좋은 흥행성적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관객으로 하여금 각자의 인사이드에 있는 감정과 성격섬을 돌아보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나의 인사이드에 있는 감정 컨트롤 타워의 리더는 누구일까? 지금 이 상황에서 제어판을 잡고 있는 감정은 누구일까? 나의 성격섬들은 어떤 섬들로 이루어져 있을까? 왜 그런 성격섬들이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이 영화는 관객으로 하여금 스스로 이런 질문을 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또한 특정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나의 감정과 그로 인한 나의 행동이 나 자신을 전부 대변하지는 않는다는 사실도 영화를 보며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된다. 어떤 상황에서 나는 버럭이가 되어 화가 나기도 하고, 소심이가 되어 불안하기도 하고, 까칠이가 되어 차갑기도 하고, 기쁨이가 되어 즐겁기도 하고, 슬픔이가 되어 우울하기도 하다. 그러나 나는 그 상황에서 드러나는 각각의 감정 자체가 아니다. 각각의 감정이 나라는 사람 전체의 정체성을 대변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감정을 느끼며 사는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상황에서 우리가 부정적이라고 생각하는 슬픔이나 버럭이, 까칠이, 소심이가 등장하는 것은 너무나 자연스러운 감정이다. 그렇기에 오케스트라와 같은 이 모든 감정들이 연주하는 나 자신을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다. 또한 나는 감정의 오케스트라를 연주할 수 있는 지휘자로서 감정을 컨트롤하며 더욱 성숙해지기를 바라본다.

반응형